1. 모바일 앱 환경의 보안 위협 개요
-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모바일 앱 기반 서비스 증가로 인해 모바일 앱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되고 있음
- 안드로이드(Android)는 APK 구조 기반으로 디컴파일이 용이하여 보안 위협에 취약한 구조를 가짐
- iOS는 폐쇄적 구조이나 탈옥(Jailbreak) 등을 통해 유사한 위협에 노출될 수 있음
- 개발사의 무결성 보호, 사용자 정보 보호, 비즈니스 로직 보호 등이 주요 보안 요구사항으로 부각됨
2. 주요 보안 위협 유형
2.1 디컴파일(Decompilation)
- APK 파일은 Java Bytecode 기반으로 컴파일되어 있어 Reverse Engineering이 용이함
dex2jar
,jadx
등의 도구를 통해 소스코드 수준으로 복원 가능- 민감한 정보(서버 URL, API Key, 암호화 키 등) 노출 가능성이 큼
- 난독화(Obfuscation) 미적용 시 코드 구조 및 로직이 쉽게 드러남
2.2 리패키징(Repackaging)
- 정상 앱을 디컴파일한 후 악성 코드 삽입, 광고 삽입 등을 통해 다시 패키징하여 배포하는 공격 방식
- 동일한 UI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신뢰를 악용하는 형태로 전파됨
- 사용자 인증 정보 탈취, 금융정보 수집 등 다양한 악성 행위 수행
- Google Play 외의 서드파티 앱스토어 통해 주로 유포됨
2.3 악성 SDK 및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 광고, 분석 등의 목적으로 삽입된 SDK가 사용자 정보 수집 및 무단 전송 기능 포함 가능성 존재
- 외부 서버와 비인가 통신을 하거나, 사용자 행동을 감시하는 백도어 형태도 존재함
- SDK 공급자가 보안 사고를 유발할 경우 전체 앱 생태계에 영향을 미침
-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의 취약점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 앱이 위험에 노출됨
2.4 코드 인젝션(Code Injection)
- 루팅된 단말이나 악성 프레임워크(Xposed 등)를 통해 런타임 중 악의적 코드 삽입 가능
- 실행 중 메모리 조작을 통해 인증 우회, 결제 우회 등의 공격 가능
- Hooking 도구(Frida, Substrate 등) 활용 시 실시간 함수 추적 및 변조 가능
2.5 앱 클로닝(App Cloning) 및 위조 인증서 사용
- 정식 앱을 복제하여 위조 앱을 제작, 정식 앱인 것처럼 배포하여 피해 유도
- 사용자 인증 절차를 우회하거나, 중간자 공격(MITM)을 통해 통신 정보 탈취
- 자체 서명(Self-signed certificate) 앱의 경우 위조 위험이 더 큼
3. 공격 사례 및 보안 사고
- 유명 금융 앱 리패키징으로 인해 사용자 금융정보 유출 사고 발생
- 인기 게임 앱의 디컴파일 및 데이터 패킷 조작을 통한 불법 아이템 획득 사례
- 악성 광고 SDK로 인해 사용자 위치 정보, 통화 기록 등이 외부로 전송된 사례
- API Key 노출을 통해 서버 자원이 무단 사용되거나 유사 서비스가 불법 복제된 사례
4. 모바일 앱 보안 강화 방안
4.1 코드 보호 기술 적용
- 코드 난독화(Obfuscation) 및 패커(Packer) 활용
- DEX 파일 암호화 및 클래스 로딩 시 복호화 적용
- Native Library(C/C++)를 이용한 민감 로직 구현
4.2 무결성 검증 및 위변조 방지
- 앱 실행 시 무결성 체크(Hash, Signature 비교 등) 적용
- APK Signing v2/v3 사용으로 서명 위변조 방지
- 루팅 탐지 및 에뮬레이터 탐지 로직 삽입
4.3 안전한 통신 및 저장
- HTTPS + Certificate Pinning 적용으로 중간자 공격 방지
- 민감 정보는 로컬 저장소에 평문으로 저장하지 않도록 설계
- Android Keystore, iOS Keychain 등 보안 저장소 활용
4.4 SDK 및 외부 라이브러리 관리
- 신뢰할 수 있는 SDK만 사용하고, 최신 보안 패치 유지
-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관리체계 도입
- 동적 분석 도구를 통한 SDK 행위 분석 실시
4.5 클라우드 백엔드 및 API 보안 강화
- API 인증 및 요청 제한 적용(Token, OAuth 등)
-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비즈니스 로직 수행하지 않도록 설계
- Backend와의 데이터 무결성 검증 강화
5. 보안 테스트 및 감리 관점 대응
- 모바일 앱 출시 전 정적 분석(Static Analysis), 동적 분석(Dynamic Analysis), 침투 테스트 수행
- 리패키징 탐지 및 위조 앱 유포 여부 주기적 모니터링
- 보안 취약점 점검 항목을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에 통합
- OWASP Mobile Top 10 기반 진단 체계 마련
6. 결론
- 모바일 앱 보안 위협은 소스코드 노출, 사용자 정보 유출, 앱 기능 오용 등으로 이어져 심각한 피해 발생 가능
- 디컴파일, 리패키징, 악성 SDK 등은 다양한 위협 요소로 작용하며, 전 생명주기에 걸친 보안 내재화 필요
- 기술적 방어 조치뿐만 아니라, 운영과 관리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보안 체계 마련이 필수임
'IT Study > 보안 및 프라이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Zero Trust Network 접근 방식의 핵심 구성 요소 정리 (1) | 2025.04.22 |
---|---|
🔐 서버리스 환경(Lambda 등)의 보안 취약점 및 대응 전략 (0) | 2025.04.21 |
🔐 BYOD(Bring Your Own Device) 환경 보안 정책 수립 전략 (1) | 2025.04.19 |
🔐 사이버 레질리언스(Cyber Resilience) 구축 전략 (0) | 2025.04.18 |
🔐 IoT 보안 이슈와 경량 암호화 알고리즘(LEA, PRESENT 등)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