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AI 시스템의 연산 성능은 처리속도 및 정확도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함
- CPU, GPU, NPU 등 다양한 연산 장치의 성능 비교 및 요구 조건 분석 시 성능 지표의 명확한 이해가 필수적임
- 주요 성능 지표로 FLOPS와 TOPS가 활용되며, AI 워크로드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지표 선택이 필요함
2. FLOPS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2.1. 정의
- 1초당 부동소수점 연산(Floating Point Operation)을 몇 번 수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임
- 과학 계산, 물리 시뮬레이션, 고정밀 연산 중심의 컴퓨팅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됨
- IEEE 754 표준의 float32(float), float64(double) 등의 정확도가 중요시되는 환경에 적합함
2.2. 계산 방식
- FLOPS = 코어 수 × 클럭 속도 × 클럭당 연산 수
- 예: 1GHz 클럭 속도에서 4개의 FMA(Fused Multiply-Add) 유닛을 가진 경우 → 4GFLOPS의 성능 도출 가능
2.3. 종류
- MFLOPS (10⁶ FLOPS)
- GFLOPS (10⁹ FLOPS)
- TFLOPS (10¹² FLOPS)
- PFLOPS (10¹⁵ FLOPS) 등으로 확장 가능
2.4. 특징
- 고정밀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측정에 유리함
-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머신러닝 학습단계 등에 적합함
- AI inference 환경에서는 연산량 대비 에너지 효율성이 낮아 비효율적일 수 있음
3. TOPS (Tera Operations Per Second)
3.1. 정의
- 1초당 수 조(10¹²) 개의 연산(Operation)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임
- 주로 정수 연산 또는 저정밀(예: INT8, INT4) 기반의 연산 성능을 측정함
- AI 추론(Inference) 엔진, 임베디드 AI 칩셋, 엣지 디바이스에서 성능 평가 기준으로 활용됨
3.2. 계산 방식
- TOPS = 연산 유닛 수 × 클럭 속도 × 클럭당 정수 연산 수 / 10¹²
- 일반적으로 양자화된 연산(INT8 등) 기준으로 연산 수를 정의함
3.3. 종류
- GOPS (10⁹ Operations per Second)
- TOPS (10¹² OPS)
- POPS (10¹⁵ OPS) 등 확장 가능
3.4. 특징
- 저전력, 고성능 환경에 최적화된 연산 성능 평가 가능
- 정수 기반의 양자화된 딥러닝 연산을 측정하기에 유리함
- 정밀도보다는 처리 속도 및 에너지 효율성이 우선시되는 경우에 활용됨
4. FLOPS vs. TOPS 비교
| 구분 | FLOPS | TOPS |
|---|---|---|
| 연산 단위 | 부동소수점 (float32, float64 등) | 정수(INT8, INT16 등) |
| 사용 영역 | 과학 계산, 모델 학습 | AI 추론, 엣지 컴퓨팅 |
| 정밀도 | 높음 | 낮음 |
| 전력 소비 | 상대적으로 높음 | 낮음 |
| 성능 측정 대상 | 고정밀 GPU, TPU 등 | NPU, DSP, 전용 AI Accelerator 등 |
| 예시 플랫폼 | NVIDIA A100 (19.5 TFLOPS FP32) | Apple M1 NPU (11 TOPS), Google Edge TPU (4 TOPS) |
5. 최근 동향
- 모델 경량화 및 양자화 기술의 발전으로 TOPS 기반 연산 지표 중요도 증가 중
-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IoT 엣지 디바이스에 TOPS 기반 AI 가속기 도입 증가
- AI 학습에는 FLOPS 기반 GPU/TPU 활용, AI 추론에는 TOPS 기반 NPU 활용하는 이원화 추세 강화
- FLOPS는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연산 정밀도 기준 성능 검증에 사용되며, TOPS는 실제 응용에서의 처리 속도와 에너지 소비 관점에서의 효과성 검증 도구로 확산 중
6. 시사점
- AI 인프라 및 시스템 설계 시, 목적에 따라 적절한 연산 성능 지표 선택이 필수적임
- FLOPS와 TOPS는 단순 비교 대상이 아니며, 정밀도 vs 처리량 간의 트레이드오프 이해가 중요함
- FLOPS 기반 고정밀 연산과 TOPS 기반 고속 연산을 융합하는 하이브리드 AI 가속기 구조 확산 전망
- 향후 AI 성능 측정 지표는 ‘Watt 당 TOPS’, ‘에너지 효율 TOPS’, ‘정확도 TOPS’ 등으로 세분화 및 지능화될 필요 있음
'IT Study > 인공지능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랭체인(LangChain) (1) | 2025.03.31 |
|---|---|
| 🤖 정밀도와 데이터 형식 (FP32, FP16, INT8, INT4, Binary) (0) | 2025.03.31 |
| 🤖 AI 탈옥(AI Jailbreak) (1) | 2025.03.31 |
| 🤖 딥페이크(DeepFake) (6) | 2025.03.31 |
| 🤖 NeRF(Neural Radiance Fields)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