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인공지능 학습 방식 중 하나로서의 강화학습
- 인공지능 학습의 분류는 크게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구분됨
- 강화학습은 에이전트(Agent)가 환경(Environment)과 상호작용을 하며 보상(Reward)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학습하는 방식임
- 인간의 학습 방식 중 시행착오(Learning by Trial and Error)와 유사한 방식으로, 명시적인 정답이 없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행동을 찾아내는 특징을 가짐
- 게임, 로보틱스, 자율주행, 금융 시스템 등 복잡한 의사결정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2. 본론
2.1. 강화학습의 기본 개념
- 에이전트는 매 시점에서 행동(Action)을 선택함
- 행동의 결과로 환경은 새로운 상태(State)와 보상(Reward)을 반환함
- 에이전트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정책(Policy)을 개선하여 장기적인 보상을 극대화함
- 강화학습의 목표는 보상의 기대값을 최대화하는 최적 정책을 찾는 것임
+-----------+ +-------------+ +-----------+
| Agent |<------>| Environment |<------>| Reward |
| |------->| |------->| & State |
+-----------+ +-------------+ +-----------+
2.2.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
에이전트(Agent) |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학습하는 주체 |
환경(Environment) | 에이전트가 행동을 취하고 결과를 받는 대상 시스템 |
상태(State) | 현재 환경이 놓인 상황에 대한 정보 |
행동(Action) | 에이전트가 현재 상태에서 선택할 수 있는 행동 |
보상(Reward) | 에이전트가 특정 행동 후 받는 수치화된 피드백 |
정책(Policy) | 상태에 따라 행동을 결정하는 전략 |
가치함수(Value Function) | 특정 상태 또는 상태-행동 쌍이 얼마나 좋은지를 평가함 |
모델(Model) | 환경의 상태 전이와 보상 구조를 모사하는 함수 (모델 기반 RL에서 사용) |
2.3. 주요 개념
-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Sequential Decision Making)로서의 강화학습 구조
- 할인율(Discount Factor, γ): 미래 보상에 대한 현재 가치 감소를 반영
- 탐험(Exploration) vs 이용(Exploitation): 최적 정책 탐색을 위한 균형이 핵심 과제
- 에피소드(Episode): 초기 상태에서 종료 조건까지의 일련의 상태-행동-보상 시퀀스
2.4. 수학적 모델 – MDP
- 강화학습은 일반적으로 Markov Decision Process (MDP)로 수학적으로 정의됨
- MDP는 (S, A, P, R, γ)로 구성되며, 각각 상태공간, 행동공간, 상태전이확률, 보상함수, 할인율을 의미함
- 마르코프 성질: 현재 상태는 이전 상태와 무관하게 현재 상태에만 의존하여 결정됨
2.5. 강화학습의 알고리즘 분류
정책 기반(Policy-Based)
- 정책 π(a|s)를 직접 학습함
- 대표 알고리즘: REINFORCE, Actor-Critic
가치 기반(Value-Based)
- Q(s, a) 또는 V(s)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정책을 유도함
- 대표 알고리즘: Q-learning, Deep Q Network(DQN)
정책-가치 혼합형(Actor-Critic 계열)
- 정책과 가치 함수를 동시에 학습함
- 안정성과 수렴 속도 향상을 도모함
- 대표 알고리즘: A2C, A3C, PPO, DDPG, SAC 등
2.6. 대표 알고리즘 개요
- Q-learning: 오프폴리시 방식으로, 벨만 방정식을 이용한 Q-value 갱신
- DQN: Q-learning에 딥러닝을 접목시켜 고차원 입력(예: 이미지) 처리 가능
- Policy Gradient: 정책을 직접 파라미터화하여 확률적으로 행동 선택
- PPO(Proximal Policy Optimization):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한 최신 정책기반 알고리즘
- DDPG / TD3 / SAC: 연속적인 행동 공간을 다루는 강화학습 알고리즘, 로보틱스 분야에서 활용
2.7. 강화학습과 딥러닝의 융합 –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상태 공간이 크거나 연속적인 경우, 전통적인 테이블 기반 접근은 비효율적임
- 딥러닝 기반 함수 근사기를 도입하여 복잡한 상태-행동 공간에서도 학습 가능해짐
- 대표 사례: AlphaGo, OpenAI Five, DeepMind MuZero 등
2.8. 강화학습의 응용 분야
분야 | 활용 예시 |
---|---|
게임 AI | Atari 게임, 체스, 바둑, 스타크래프트 등 |
로보틱스 | 로봇 제어, 경로 계획, 다관절 제어 등 |
자율주행 | 경로 선택, 위험 회피, 상황 인식 등 |
금융 | 포트폴리오 최적화, 주식 거래 전략 등 |
제조/산업 제어 | 자동화 제어, 생산 공정 최적화 |
헬스케어 | 맞춤형 치료 전략, 환자 상태 예측 등 |
2.9. 강화학습의 한계와 해결 과제
- 샘플 효율성: 많은 학습 에피소드 필요 → 오프라인 RL, 샘플 효율적 알고리즘 연구
- 안정성: 불안정한 수렴, 성능 변동성 큼 → 정책 제약, 리플레이 버퍼 안정화 등 필요
- 보상 설계 문제: 명확하고 적절한 보상 설계가 학습 성패 좌우
- 탐험의 어려움: 탐색 공간이 클수록 무작위 탐험으로는 한계 있음
- 현실 환경 적용 어려움: 시뮬레이션과 실제 환경 간의 차이 존재 (Sim-to-Real 문제)
3. 결론
- 강화학습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적 행동 전략을 학습하는 방법론으로, 전통적인 지도학습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함
- MDP 기반 수학적 모델링과 정책/가치 함수 최적화를 통해 다양한 실제 문제에 적용 가능함
- 딥러닝과의 융합으로 인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성능을 발휘하며, 자율지능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음
- 학습 안정성, 효율성, 현실 적용성 등의 한계를 해결하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
'IT Study > 인공지능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RLHF) (0) | 2025.03.28 |
---|---|
🤖 거대언어모델 - 환각(LLM - Hallucination) (0) | 2025.03.28 |
🤖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0) | 2025.03.28 |
🤖 생성형 AI(Generative AI) (0) | 2025.03.28 |
🤖 파인튜닝(Fine-tuning)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