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Study/IT 비즈니스 및 전략

📝 IT 조직 내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전략 수립 절차

cs_bot 2025. 4. 18. 02:13

1. BPR 개요

  • 기업의 핵심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획기적으로 재설계하여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경영혁신 기법임
  • 기존 업무방식을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근본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 등에서 획기적 개선 추구함
  • 특히 IT 조직에서는 변화관리와 정보화 전략이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하므로 전략적 수립 절차 중요함

2. IT 조직 내 BPR 추진의 필요성

  • 정보시스템이 업무프로세스를 단순 자동화하는 수준을 넘어, 업무방식을 재정의하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음
  •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민첩하고 유연한 IT 서비스 제공 요구 증가함
  • IT 서비스 운영, 시스템 개발, 고객 지원 등 내부 프로세스의 비효율성 제거와 혁신 필요성 대두됨
  • 디지털 전환(DX)과 연계하여 프로세스 중심의 조직 개편 및 IT 거버넌스 강화 기반 마련 목적

3. IT 조직 내 BPR 전략 수립 절차

(1) BPR 추진 대상 선정 및 범위 정의

  • 조직 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고, 개선 파급효과가 크거나 병목현상이 심한 영역을 우선 선정함
  • 예: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SDLC), 헬프데스크 운영, 장애 대응 절차 등
  • ITIL, COBIT 등 표준 프로세스와의 비교를 통해 문제 영역 도출

(2) 현행 프로세스 분석 (As-Is 분석)

  • 실제 수행 중인 프로세스를 흐름도(BPMN 등)로 시각화하고 주요 성능 지표(KPI) 수집함
  • 병목 구간, 중복 활동, 불필요한 승인 절차 등 비효율 요소 파악
  • 프로세스 참여자, 도구, 데이터 흐름 등의 요소를 구조적으로 분석함

(3) 성과 목표 및 혁신 방향 정의

  • 전략적 목표(예: 처리속도 30% 단축, 비용 20% 절감 등)를 KPI로 명확히 설정함
  • 고객 중심, 자동화 중심, Agile 기반, DevOps 연계 등 혁신 방향 설정
  • 외부 벤치마킹(Benchmarking) 또는 레퍼런스 모델 활용 가능

(4) 혁신 프로세스 설계(To-Be 설계)

  • 목표 달성을 위한 이상적 프로세스 흐름 설계
  • 불필요한 단계 제거, 의사결정 단계 축소, 자동화 도입 등 고려
  • BPMN 기반으로 To-Be 모델링하고 기존 시스템/조직과의 정합성 확보 필요
  • 역할 및 책임(RACI) 재정의, 새로운 IT 시스템 연계 포인트 정의

(5) IT 아키텍처 및 기술 요소 정렬

  • 새로운 프로세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조 분석 및 재설계
  • ERP, CRM, ITSM 등의 시스템과 연계되는 모듈화 및 통합 전략 수립
  • 자동화 툴(RPA), AI 기반 예측 시스템, 클라우드 연동 필요성 검토
  •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계 또는 마이그레이션 전략 포함

(6)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및 조직 재정비

  • 프로세스 변화에 대한 사용자 저항 최소화를 위한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계획 수립
  • 조직 내 역할 변화, 직무 재설계, 평가 지표 변경 등 HR 차원의 조치 포함
  • CIO, CDO 등 리더십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확보 필요

(7) 시범 적용(Pilot) 및 피드백 확보

  • 전체 적용에 앞서 한정된 범위에서 시범 운영 실시
  • 시범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도출 및 프로세스 보완
  • 사용자 인터뷰, 로그 분석 등을 통한 정성·정량적 피드백 수집

(8) 전사 적용 및 성과 측정

  • 검증된 To-Be 프로세스를 전사적으로 확산 적용함
  • 성과 측정 기준에 따라 운영성과를 분석하고 개선 필요성 여부 판단
  • 지속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성과 기반의 지속적 개선 활동 유도

4. BPR 전략 수립 시 고려사항

  • 조직 문화: 수직적 조직일수록 변화에 대한 저항이 큼. 변화 수용성 진단 필요
  • 정보시스템 연계성: 프로세스 변경이 시스템 아키텍처에 미치는 영향 면밀히 분석 필요
  • 데이터 기반 분석: 업무 프로세스별 처리량, 소요시간, 오류율 등 데이터 기반 접근 중요
  • 거버넌스 체계 정비: 변화된 프로세스를 지속 관리하기 위한 정책 및 책임 구조 마련

5. 결론

  • IT 조직 내 BPR은 단순한 시스템 개선이 아닌, 근본적인 업무 방식의 혁신을 목표로 함
  • 전략적 대상 선정부터 기술 정렬, 변화관리까지의 전 주기적 접근이 필수적임
  • 정보기술의 도입은 단순 자동화에 그치지 않고, 조직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수단으로 작용함
  • 성공적인 BPR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강력한 지원, 구성원의 참여 유도, 프로세스 중심의 사고 전환이 수반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