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Study/보안 및 프라이버시

🛡️ Shadow IT 탐지 및 통제 기술

cs_bot 2025. 4. 3. 17:34

1. Shadow IT 개요

  • 기업의 공식 IT 부서 통제를 받지 않고, 직원이나 부서가 자율적으로 도입·운영하는 IT 자산, 시스템, 서비스 등을 통칭함
  • SaaS, 클라우드 저장소, 메신저, 업무 자동화 도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
  • 디지털 전환, 재택근무 확산, 클라우드 기반 업무 도구 증가 등의 환경 변화로 인해 발생 빈도 증가함
  • 보안 위협, 데이터 유출, 컴플라이언스 위반 등의 리스크 발생 원인이 되며, IT 거버넌스 관점에서 주요 관리 대상임

2. Shadow IT 주요 유형

  • 비인가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개인용 Google Drive, Dropbox, iCloud 등을 업무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하는 행위
  • 비공식 협업 도구 사용: Slack, Discord 등 기업 승인 외 메신저 사용
  • SaaS 기반 생산성 도구 사용: Notion, Trello, ChatGPT 등 공식 도입 전 업무에 활용되는 서비스
  • 비인가 기기 사용: 개인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업무 수행 (BYOD 상황 포함)
  • 비공식 개발 플랫폼 및 코드 저장소 사용: Github, Gitlab 등의 외부 저장소 활용

3. Shadow IT 발생 원인

  • 공식 IT 시스템의 불편함 및 비효율성
  • 업무 자동화 및 협업 효율화 니즈 충족을 위한 사용자 자발적 도입
  • IT 부서의 신속한 대응 부족 및 승인 절차의 복잡성
  • 클라우드 기반 SaaS의 접근성 및 비용 효율성
  • 재택근무 환경에서의 자율성 증가 및 통제 한계

4. Shadow IT 탐지 기술

① 네트워크 기반 탐지

  • 프록시 및 방화벽 로그 분석
    ‣ 도메인, IP 기반으로 비인가 서비스 사용 탐지
    ‣ SSL 트래픽 분석 및 SNI 필드 활용
  • DPI(Deep Packet Inspection)
    ‣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패킷을 분석하여 Shadow IT 서비스 식별
    ‣ HTTPS 암호화 트래픽 해제 기반 분석 병행 필요

② 엔드포인트 기반 탐지

  •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 PC 또는 모바일 단말에서 비인가 소프트웨어 실행 여부 확인
    ‣ 이상 트래픽 패턴 기반 Shadow IT 사용 탐지 가능
  • 클라이언트 행위 분석
    ‣ 사용자 행태 분석(UEBA)을 통해 비정상적인 SaaS 접속 패턴 식별

③ CASB (Cloud Access Security Broker)

  • Proxy 방식: 트래픽 중계 시 SaaS 접속 통제 및 로그 수집
  • API 방식: 클라우드 서비스와 직접 연동하여 사용자 활동 모니터링
  • 통합 위협 분석 제공: 사용자, 앱, 데이터에 대한 리스크 평가 기능 포함
  • 사용자 행동 기반 이상 탐지: Shadow IT 사용 가능성 높은 행위 자동 탐지

④ AI/ML 기반 이상 행위 탐지

  • 머신러닝 모델을 통한 정상/비정상 행위 분류
  • SaaS 접속 빈도, 시간, 위치, 디바이스 유형 등 다양한 특징 기반 패턴 인식
  • 새로운 Shadow IT 서비스에 대한 zero-day 탐지 능력 강화

5. Shadow IT 통제 기술

① 기술적 제어 방안

  • IP 및 도메인 차단: 비인가 SaaS 접속 방지
  • SSL/TLS 트래픽 가시성 확보: 중간자(Man-in-the-Middle) 방식 적용
  • SaaS 접근제어 정책 적용: 사용자/그룹 단위 세분화된 권한 설정
  • DLP(Data Loss Prevention): 민감 데이터의 외부 반출 차단
  • MDM/MAM: 모바일 환경에서 Shadow IT 사용 차단

② 관리적 제어 방안

  • SaaS 카탈로그 제공 및 화이트리스트 관리
    ‣ 허용된 SaaS 리스트를 사용자에 제공하고, 정책 기반 접근 제어
  • 정보보호 정책 정비
    ‣ Shadow IT 사용 금지 명문화 및 위반 시 제재 규정 마련
  • 정기적인 감사 및 리스크 평가 수행
    ‣ 부서별 Shadow IT 사용 실태 점검 및 리스크 우선순위 부여

③ 사용자 교육 및 인식 제고

  • Shadow IT 사용으로 인한 보안 위협, 법적 리스크 등 사용자 인식 강화
  • 사용자 니즈를 수렴한 공식 서비스 제공 유도
  • 자발적 신고 채널 개설 및 보상 체계 운영

6. Shadow IT 통제 프레임워크 사례

항목 내용
탐지 CASB, 프록시 로그, DPI, EDR, UEBA
식별 승인되지 않은 SaaS 도구 목록 작성
분류 위험도, 민감도, 사용자 범위 기준 Shadow IT 분류
대응 기술적 차단, 공식 대체 서비스 제안, 사용자 조치 요구
모니터링 정기 감사 및 탐지 시스템 운영을 통한 지속적 관리

7. Shadow IT 탐지·통제 도입 시 고려사항

  •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 수준 간의 균형 필요
  • 조직별 업무 특성에 맞는 SaaS 도구 허용 범위 설정 필요
  •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최소화한 로그 수집 및 분석 설계 필요
  • Shadow IT를 단속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혁신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전략 수립 필요

8. 결론

  • Shadow IT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 환경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간주됨
  • 탐지 기술(CASB, 로그 분석, UEBA 등)과 통제 기술(DLP, MDM, 정책 기반 접근제어 등)의 통합 운용 필요
  • 사용자와의 신뢰 기반 협력을 통한 사전 예방 및 지속적인 가시성 확보가 핵심 과제임
  • 통제 중심이 아닌 “보안 내재화된 협업 생태계” 구축 관점에서의 접근이 Shadow IT 대응의 근본 방향임